명기환, 박석규, 서종견 등 8명 전남도 문화상 수상
상태바
명기환, 박석규, 서종견 등 8명 전남도 문화상 수상
  • 류옥경 기자
  • 승인 2012.12.18 17: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남도, 제56회 전남도 문화상 수상자 8명 확정

문학 3명․예술 부문 5명…27일(목) 전남도청서 시상

[목포타임즈=류옥경기자]전라남도는 전남도를 빛낸 문화예술인들에게 수여하는 ‘제56회 전남도 문화상’ 수상자 8명을 최종 확정했다고 17일(월) 밝혔다.
부문별 수상자는 문학부문에 시인 명기환(69), 신병은(57), 아동문학가 박행신(58), 예술부분에 서양화가 박석규(74), 서예가 서종견(76), 국악인 송순섭(73), 남포미술관장 곽형수(62세), 사진작가 마동욱(55세) 씨다.
수상자들은 국내외적으로 문화적 역량이 탁월하다고 인정된 문화예술계 인사 15명을 문화예술 관련 단체와 대학, 시군으로부터 추천받아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결정됐다.
김영희 전남도 문화예술과장은 “수상자들에게는 문화예술역량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2013년 문예진흥기금에서 작품전시회, 출판기념회 등 문화예술활동 사업비를 지원할 예정이다”며 “문화상을 수상한 분들을 소중한 인적자원으로 관리하고 지속적으로 지원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시상식은 오는 27일(목) 오후 3시 도청 서재필실에서 박준영 도지사를 비롯해 수상자 부부와 가족, 제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된다.

한편 ‘전남도문화상’은 지난 1956년 제정돼 올해 56회째를 맞았다. 문화예술분야에서는 역사와 권위가 있는 상으로 제1회에는 허백련 화백과 오지호 화백, 김현승 시인이 수상했다. 이후 조방원 화백, 박철웅 총장, 차범석 작가, 허형만 시인 등 지금까지 총 322명의 문화예술인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수상자 주요공적

◎ 문학부문 : 3명

▲ 명기환 시인
▲명기환(시인)
-주소 : 목포시 삼악로
-생년월일 : 1943년 7월 26일(만 69세)
-직업 :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이사
-경력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1966), 시문학지 추천 등단(1985), 시집 ‘사랑을 여는 바람’ 발간(1988), 시집 ‘목포에 오면 섬에 가고 싶다’발간(2000), 시집 ‘시인의 기도’ 한영본 발간(2002), 대한민국 향토문학상 수상(2006)
-공적
목포덕인고등학교에서 39년간 교사로 재직하면서 인재육성에 힘써왔으며 목포문인협회 지부장, 목포 예총 자문위원을 역임하였음. 다도해, 목포항, 섬 등 바다관련 시를 꾸준히 발표하면서 지역 문학 발전에 기여함.

▲ 신병은씨
▲신병은(시인)
-주소 : 여수시 여서동
-생년월일 : 1955년 6월 1일(만 57세)
-직업 : 전남문인협회 이사
-경력
조선대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1985), 시대문학 신인상 등단(1989), 시집 ‘바람과 함께 풀잎이’ 발간(1990), 시집 ‘바람 굽는 법’ 발간(2006), 시집 ‘잠깐 조는 사이’ 발간(2010), 전남문학상 수상(2011)
-공적
여수정보과학고등학교에서 30년간 교사로 재직하면서 인재육성에 힘써왔으며 여수세계박람회준비위원회 문화예술분과위원장, 전남시인협회 이사 등을 역임하였음. 꾸준한 창작은 물론 독서지도론, 시창작론 등 교육관련 서적도 다수 출간함.

▲ 박행신씨
▲박행신(아동문학)
-주소 : 광양시 금호동
-생년월일 : 1954년 2월 24일(만 58세)
-직업 : 한국동시문학회 이사
-경력
순천대교육대학원 국어교육과 졸업(2001), 국어교육과정 연구위원(2005), 호남예술제 문예부분 심사위원 (2008), 시울림문학동인회장(2012), 시집 ‘이 웃음 하나가’ 출간(1996), 광주일보 신춘문예 동시당선(1985)
-공적
제3회 대교눈높이 문학상 동시부문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현재는 순천 기적의 도서관 등에서 독서논술 강사로 활발히 활동 중임. 특히 광양문인협회를 창립하여 지역 문학발전에 기여하고 문학교실을 개설하여 지역 문학인 양성에 노력하고 있음

◎ 예술부문 : 5명

▲ 박석규씨
▲박석규(서양화)
-주소 : 목포시 용해동
-생년월일 : 1938년 10월 3일(만 74세)
-직업 : 갯벌미술관장
-경력
조선대학교 미술학과 졸업(1983), 프랑스 르방 시립미술관 초대전(1997), 피압 장모네 30주년 기념 초대전(1998), 함평 갯벌미술관 설립(2008), 프랑스 국제살롱전 예술상 수상(1996), 자랑스런 전남인상 수상(2012)
-공적
중고등학교 교사를 거쳐 목포대 교수로 40여 년간 후학을 양성하고 50여 년간 화가로 활동하면서 국내외 많은 호평을 받았고, 전남미술계를 통합하여 한국미협 초대 전남도지회장에 맡아 전남 미술발전의 계기를 만들었음. 프랑스 등 외국에 한국미술을 소개하고 발전시키는데 공헌함

▲ 서종견씨
▲서종견 (서예)
-주소 : 목포시 호남로
-생년월일 : 1936년 6월 10일(만 76세)
-직업 : 서예가
-경력
전남대 경영대학원 수료(1975), 도전 특․입선 10회, 최우수상(1985~), 도전 추천․초대작가(1990), 대한민국 서예대전 특․입선 7회(1992), 대한민국 서예대전 초대작가(1993), 제4회 송암 창작대상 수상(1985)
-공적
1976년 목포 최초로 ‘유달 서예원’을 설립하여 35년간 서예교육을 통하여 죽전 송홍범, 청곡 주은일 등 많은 제자들을 국전에 입상시키는 등 서예인구 저변확대에 기여하였으며 서예협회 도지회장 및 목포지부장을 역임하면서 지역의 서예발전에 공헌함.

▲ 송순섭씨
▲송순섭(판소리)
-주소 : 순천시 석현동
-생년월일 : 1939년 2월 3일(만 73세)
-직업 : (사)동편제 판소리보존회 이사장
-경력
판소리 완창 발표회(1975), 전주대사습 명창부 대통령상 수상(1994), 중요무형문화재 적벽가 보유자 인정 (2002), 한국종합예술학교 겸임교수(2003), 영화 천년학 출연(2007), 화관문화훈장 수상(2010)
-공적
송흥록, 송만갑, 박봉술 선생을 이어받아 동편제 판소리 계보를 이어 오고 있으며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예능보유자중 유일한 남자명창임. 일생동안 판소리만 고집하여 외길을 걸어왔으며 국악기금조성, 송만갑, 박봉술 선생 현장사업 등 국악발전에 크게 기여

▲ 곽형수씨
▲곽형수(미술)
-주소 : 고흥군 영남면
-생년월일 : 1950년 8월 2일(만 62세)
-직업 : 남포미술관장
-경력
광주대학교 졸업(1989), 점암중학교 교사(1985~), 민예총 고흥군지부 미술분과위원장(1990), 경향미술대전 운영위원(2009), 경향미술협회 이사(2011), 우수박물관 미술관상 수상(2006)
-공적
미술관 개관 이후 매년 6~7회의 기획전시를 열어 지역주민에게 문화향유권을 제고하고 있으며 ‘11년에는 농어촌 학생들에 우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3개교 436명의 학생들에게 12회의 현장교육을 시행하는 등 지역의 문화예술 발전에 공헌함.

▲ 마동욱씨
▲마동욱(사진)
-주소 : 장흥군 장흥읍
-생년월일 : 1958년 2월 28일(만 55세)
-직업 : 사진작가
-경력
방송통신대 영문과 수료(1987), 광주소방관 의원면직(1989), ‘아! 물에 잠긴 내고향’ 사진집 출간(1997), ‘시베리아 횡단철도 달리다’ 여행산문집 출간(2006), ‘탐진강의 속살’ 사진전(2012), 오마이뉴스 기자상 수상(2005)
-공적
장흥마을과 사람들을 주재로 작품 활동을 하면서 사라져가는 농촌의 모습과 향토사를 사진에 기록하는 작업을 꾸준히 해오고 있음. ‘마동욱의 고향이야기’ 블로그를 개설하여 장흥, 탐진강 등의 일상을 전국에 알리는 등 지역의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

 

<목포타임즈신문 제45호 2013년 1월 2일자 12면>

<밝은 지역사회를 열어가는 목포타임즈/목포타임즈>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